캐나다는 두 개의 시간대를 사용합니다. 하나는 협정 세계시(Coordinated Universal Time)에 따른 표준시이고, 다른 하나는 일광절약시간(Daylight Saving Time)입니다. 일광절약시간(Daylight Saving Time)은 다른 계절보다 낮의 길이가 긴 여름철에 낮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므로 써머 타임(summer time)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협정 세계시(Coordinated Universal Time, UTC)와 캐나다 표준시
세계시, 그리니치 평균시, 협정 세계시
세계시(Universal Time, UT) 개념은 1884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International Meridian Conference)에서 본초 자오선(경도 0도 )이 지나는 영국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그리니치 평균시(Greenwich Mean Time, GMT)를 세계시(UT)로 채택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1972년 1월 1일부터 협정 세계시(UTC)로 재정의되면서 현재와 같은 24시간을 바탕으로 한 시간대(time zone system)가 탄생했습니다. 원리는 지구가 1회 자전하는 360도를 24시간으로 나눠, 매 15도마다 1시간씩 증감하고, 그 안에 들어 있는 지역에는 같은 시간대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협정 세계시 표기와 관련한 에피소드가 있습니다. 현재 협정 세계시의 공식 표기는 ‘UTC’입니다. 하지만 영어 표기는 ‘Coordinated Universal Time’이고, 이니셜로 옮기면 ‘UTC’가 아닌 ‘CUT’가 됩니다. 맞습니다. 처음 협정 세계시를 제정할 때 이와 관련한 논쟁이 있었답니다. 프랑스어로 협정 세계시는 ‘Temps Universel Coordonné’이고, 이니셜로 하면 ’TUC’가 되니까요. 당연히 둘 사이에 논쟁이 있었고, 둘 다 ‘C’ ’T’ ‘U’ 자가 들어간다는 것에 착안해 ‘UTC’로 결정되었답니다. 인터넷에 올려진 블로그 글을 보면 협정 세계시 영어 표기를 UTC에 맞춰 ‘ Universal Time Coordinated’로 적은 글들이 있는데, ‘협정 세계시’의 영어 표기는 ‘Coordinated Universal Time’이 맞습니다.
캐나다 표준시
캐나다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면적이 넓은 나라입니다. 동서 길이도 길어서, 동쪽 대서양 서경 53도에서 시작해 서쪽 태평양 서경 141도에 걸쳐 있습니다. 경도를 15도로 나누는 규칙에 따라 나누면 여섯 개의 시간대가 적용됩니다. 아래는 협정 세계시에 따른 캐나다 표준시입니다. 동부인 대서양에서 서부인 태평양 쪽으로 이동합니다.
- 뉴펀들랜드 표준시(Newfoundland Standard Time, NST): UTC – 3h 30
- 대서양 표준시(Atlantic Standard Time, AST): UTC – 4h
- 동부 표준시(Eastern Standard Time, EST): UTC – 5h
- 중부 표준시(Central Standard Time, CST): UTC – 6h
- 산악 표준시(Mountain Standard Time, MST): UTC – 7h
- 태평양 표준시(Pacific Standard Time, PST): UTC – 8h
대서양 연안에 있는 뉴펀들랜드의 표준시(NST)는 협정 세계시에서 3시간 30분을 뺀 시간이며, 몬트리올 오타와 토론토가 들어 있는 동부 표준시(EST)는 협정 세계시에서 5시간을 뺀 시간이며, 밴쿠버가 들어 있는 태평양 표준시(PST)는 협정 세계시에서 8시간을 뺀 시간입니다. 그러니까 캐나다의 시간은 협정 세계시보다 늦습니다.
우리나라 표준시는 ‘UTC + 9h’로, 협정 세계시보다 9시간 빠릅니다. 협정 세계시가 2월 10일 0시라면, 우리나라는 이보다 9시간 빠른 2월 10일 오전 9시이고, 캐나다 토론토는 이보다 5시간 늦은 2월 9일 오후 7시입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토론토보다 14시간 빠릅니다.
일광절약시간(Daylight Saving Time, DST)과 캐나다 현지 시각
일광절약시간
일광절약시간(Daylight saving time) 또는 써머 타임(summer time)은 다른 계절보다 해가 일찍 뜨고 늦게 지는 여름철에 긴 낮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시간제로, 약자로는 ‘DST’를 씁니다. 여름에는 표준시보다 1시간 앞당겼다가, 가을에 다시 시간을 되돌리는 방식입니다. 이것을 기억하기 위해 영어권에서는 ’Spring forward, fall back’이라는 말을 쓰기도 합니다. 봄에는 시곗 바늘을 앞으로 돌리고, 가을에는 시곗 바늘을 뒤로 되돌린다는 말이지요.
캐나다 서머타임
캐나다는 1918년에 연방 정부에서 일광절약시간을 도입했으며, 현재 캐나다는 3월 두 번째 일요일 오전 2시를 3시로 변경하면서 써머 타임이 시작되고, 11월 첫 번째 일요일 오전 2시를 1시로 변경하면서 써머 타임이 해제돼 표준시로 돌아갑니다. 시간 변경을 일요일 새벽에 하는 것은 변경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랍니다. 아래는 시간대(Time Zone)에 따른 일광절약시간(DST)입니다. 표준시에 한 시간이 더해집니다.
- 뉴펀들랜드 표준시(Newfoundland Standard Time, NST) : UTC – 2h 30
- 대서양 표준시(Atlantic Standard Time, AST) : UTC – 3h
- 동부 표준시(Eastern Standard Time, EST) : UTC – 4h
- 중부 표준시(Central Standard Time, CST) : UTC – 5h
- 산악 표준시(Mountain Standard Time, MST) : UTC – 6h
- 태평양 표준시(Pacific Standard Time, PST) : UTC – 7h
서머타임이 적용될 때 토론토가 들어 있는 캐나다 동부 표준시와 우리나라 시간과의 차이는 표준시일 때 보다 한 시간 줄어들어 13시간 차이입니다. 우리나라 시간이 2월 10일 오전 9시라면, 토론토는 2월 9일 오후 8시입니다.
사스카츄원, 유콘
캐나다는 우리나라와 달리 주가 모여서 이뤄진 연방국으로, 주에 따라 법이 다르기도 합니다. 캐나다는 1918년에 연방 정부에서 일광절약시간을 도입했지만, 사스카츄원(Saskachewan) 주와 유콘(Yukon) 준주 등은 일광절약시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스카츄원(Saskachewan) 주는 연중 중부 표준시(CST)를 사용하고, 유콘(Yukon) 준주는 산악 표준시(MST)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우리말로는 미국의 주와 캐나다의 주 모두 다 ‘주’라고 표기하지만, 미국에서는 State라고 적고, 캐나다에서는 Province 또는 Territory를 사용합니다. 미국의 이름이 United States of America인 것은 아메리카(America) 대륙에서 주들(States)이 모여(United) 이뤄진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일광절약시간(DST) 관련 짤막한 이야기
- 현재와 같은 일광절약시간을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은 미국의 벤자민 프랭크린(Benjamin Franklin)이 아니라, 1895년 뉴질랜드 곤충학자 조지 허드슨(George HUdson)입니다.
- 세계에서 가장 먼저 일광절약시간을 시행한 곳은 1908년 7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시행한 캐나다 온타리오주 썬더베이(Thunder Bay)시입니다. 이 도시의 당시 명칭은 포트 아서(Port Arthur)입니다.
- 일광절약시간을 처음으로 시행한 나라는 1916년 1차 세계대전 중 독일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동맹국입니다.
-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주를 비롯하여 여러 지역에서 일광절약시간을 영구적인 표준시로 사용하는 것을 논의 중입니다.
- 우리나라에서도 세 번에 걸쳐 일광절약시간을 실시했습니다. 첫 번째는 1948년부터 51년까지이며, 다음은 1955년부터 60년까지, 그리고 마지막은 서울 올림픽 때인 1987년부터 88년까지입니다.